반월상연골판손상 MRI 건강보험 적용? 직접 겪어본 리얼 후기

무릎이 통증이 있었고… 그냥 단순 염좌겠지 싶었죠.
근데 점점 찌르는 듯한 통증이 지속 되었습니다. 간헐적으로 말이죠.
계단은 진짜 악몽이더라고요.
운전도 힘들고요.

그래서 결국 병원에 갔고, 의사 선생님이 하신 말.
“반월상연골판손상 같으니 MRI 찍어보셔야 할 것 같아요.”

그때 찍은 MRI 비용, 무려 46만원 나왔습니다…

통증이 심해 입원을 했습니다.
물론 실비보험때문이기도 하죠.
입원해서 촬영했고, 기타 비용까지 거의 50만원 가까이 나왔어요.
적은 비용은 아니죠.

근데 다행히도 저는 예전에 가입해둔 1세대 실손보험이 있어서,
100% 보상 받았어요.
입원해서 찍은 덕분에 보험처리가 가능했습니다.

입원이 아닌 당일 병원에서 진료받는 통원으로 MRI 촬영하면 보통 25만원, 또는 최고 30만 원까지 1일 통원치료비 한도내에서만 보장이 가능합니다.

물론 단점은 있었어요.
입원해서 찍는 게 생각보다 불편하고, 시간도 오래 걸리고 입원한다는 것이 간단한 문제가 아니니까요.
근데 보험처리를 생각하면 그 정도는 감수할 만했죠.

급성과 만성, 그 차이가 이렇게 클 줄이야…

실비보험은 무조건 보상이 됩니다.
실비보험에 가입되어 있다면 아래 건강보험 급여 관련 부분은 크게 신경 쓰지 않아도 됩니다.

나라에 병원비를 보조해주는 건강보험 급여는 결과가 만성인지 급성인지에 따라 지원 여부가 다릅니다.

반월상연골판손상으로 아파하는 남성
반월상연골판손상

진단 결과는 ‘반월상연골판손상’.
저는 급성이라 급여 대상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만약에 의사 선생님이

“이건 급성이 아니라 만성으로 보입니다.” 라고했다면

그 말 한마디에 건강보험 급여 혜택이 날아갑니다.

건강보험 적용 문제는 급성과 만성에서 차이를 보입니다.
그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반월상연골이식술 요양급여 인정 기준.

자82-2 반월상연골이식술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요양급여를 인정하며, 동 인정기준 이외 시행하는 경우에는 수술료와 치료재료에 해당되는 요양급여비용 전액을 본인이 부담토록 함.

– 다 음 –

가. 연령 : 만20세~만45세
나. 적응증

내측(medial meniscus) 또는 외측(lateral meniscus) 반월상연골의 아전절제술 또는 전절제술 시행(MRI, 관절경 사진 등 객관적으로 확인되어야 함.) 후 보존적 치료로 무릎 통증이 소실되지 않거나 급격한 퇴행성 변화가 예상되는 경우에 인정하되, 수술 전 병변부위가 아래의 조건을 모두 충족하여야 함.

– 아 래 –

1) 연골의 상태

손상부위 연골상태가 비교적 건강한 상태(Outerbridge grade I~II)로서 퇴행성 변화가 없는 경우

2) 슬관절 주변조직의 여건

하지 정렬(alignment)과 인대(ligament)의 안정성이 정상인 경우. 다만, 정상이 아닌 경우에 시행 시는 인대재건술을 이식술과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시행하여야 함.

3) 보존적 치료기간

보존적 치료기간은 아전절제술 또는 전절제술 시행 후 내측은 1년, 외측은 6개월을 원칙으로 함.(다만, 조기시행시 그 필요성에 대한 의사소견서 첨부)
다.

다. 인정횟수 : 관절 당 1회(내측 또는 외측)만 인정함.

반월상연골판손상 MRI 건강보험 급여기준

제가 직접 겪어보고, 이것저것 찾아보면서 정리해봤어요.
아래 내용은 그냥 이론이 아니라, 제가 진짜 경험하고 조사한 거예요.

구분보험 적용 여부설명
급성 손상O 건강보험 적용 가능외상으로 인한 손상 (예: 사고, 운동 중 충격 등)
만성 손상X 비급여오랜 시간 누적된 손상, 퇴행성 변화 등은 제외

이 표도 제가 정리해본 거예요.
물론 급여가 되면 병원에서 자동으로 청구되고
자동 적용이 되니까 크게 신경 안써도 됩니다.

 의사와 충분한 상담

MRI 찍기 전에 그냥 “네 찍을게요” 하고 끝내지 말고,
반드시 의료보험 적용이 되는지(급성/만성 여부) 물어보세요.

실비보험이 있으면 실비로 처리하면 되니
실비처리 되는지만 간단히 확인하시면 됩니다.

그래서 진짜 중요한 것은
MRI 찍기 전엔 무조건 물어보세요.

  • 이게 급성 손상에 해당되나요?
  • 건강보험 적용 가능한가요?
  • 실비보험 적용가능한지?
  • 보험사에 MRI 비용 얼마까지 되는지 확인하세요. 중요합니다.

특히 보험사에 MRI 촬영 통원으로 얼마까지 지원되는지 물어보세요. “1일 통원비용 최대 지원금액” 얼마까지 되는지 문의하면 됩니다.

실비보험 없으면? 건강보험 급여로 커버 가능할 수도 있어요

저처럼 실비보험 있으시면 걱정 없지만,
혹시 실비(실손)보험 가입 안 돼 있는 분들은 건강보험 급여 기준이 정말 중요해요.

급성 외상이라면 건강보험 혜택 받을 수 있고요,
진단서 상에 그 내용이 잘 정리되어 있어야 보험 처리에도 도움이 됩니다.

근데 만약 퇴행성이나 만성 손상으로 판단되면?
그땐 그냥 전액 본인 부담입니다. MRI 비용 진짜 장난 아니에요.

반월상연골판 손상MRI 된다. 하지만,

무릎 아프다고 그냥 MRI 찍지 마시고요.
진단 받기 전, 그리고 찍기 전. 꼭 의사에게 직접 물어보세요.

뒤늦게 “아… 그랬구나…” 후회하지 마시고요.

보험사에 MRI 찍었을때 1일 통원 비용 문의하합니다.
건강보험에서 말하는 급성인지 만성인지 여부도 MRI 촬영전 의사선생님께 문의하시고.
이 모든 게 ‘물어보기’ 하나로 바뀔 수 있어요.

Leave a Comment